맨위로가기

이케다 미쓰마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케다 미쓰마사는 에도 시대의 다이묘로, 하리마, 돗토리, 오카야마 번주를 역임했다. 그는 유교 학자이자 구마자와 반잔의 후원자였으며, 번교 설립과 서민 학교 개교를 통해 교육에 힘썼다. 또한, 검소 절약을 중시하며 간척 사업과 치수를 통해 번의 발전에 기여했다. 미쓰마사는 신도 중심 정책을 펼치고 신불분리 정책을 시행했으며, 1672년 은거 후 1682년에 사망했다. 그는 명군으로 칭송받았으며, 그의 치세는 후세 오카야마 번의 모범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오카야마번주 - 이케다 다다쓰구
    이케다 다다쓰구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외손자로, 5세에 비젠 오카야마 28만 석 영지를 받았으며 오사카 전투에 참전했으나 17세에 사망했다.
  • 오카야마번주 - 이케다 나리마사
    이케다 나리마사는 에도 시대 후기의 오카야마 번 11대 번주로, 재정 개혁과 문화 진흥을 추진했으며, 후계자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은거 후 사망했다.
  • 돗토리번주 - 이케다 나가요시 (1587년)
    이케다 나가요시는 돗토리번 초대 번주의 장남으로 빗추 마쓰야마 번주를 지냈으며, 아버지의 사망으로 가독을 상속받아 신전 개발과 미하라성 재번을 담당하다가 사망했다.
  • 돗토리번주 - 이케다 쓰나키요
    이케다 쓰나키요는 에도 시대 돗토리 번의 3대 번주로, 병약한 탓에 아버지의 후견을 받으며 번정을 이끌었으나 후사 없이 양자를 들여 번주 자리를 물려주었고, 그의 묘소는 생류연애령을 배려하여 거북받침돌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 오카야마 이케다가 - 이케다 아쓰코
    이케다 아쓰코는 쇼와 천황과 고준 황후의 넷째 딸로 태어나 이케다 다카마사와 결혼하며 황족 신분을 떠난 후 이케다 동물원 운영을 돕고 이세 신궁 제주와 신사본청 총재를 역임한 일본의 옛 황족이다.
  • 오카야마 이케다가 - 돗토리번
    돗토리 번은 1600년 이케다 가문이 호키국을 영지로 하사받아 시작되어, 영지 교환 후 이케다 가문이 에도 시대 말까지 다스렸으며, 메이지 정부군에 가담 후 폐번치현으로 돗토리현의 일부가 되었고, 이후 이케다 가문은 후작 작위를 받았다.
이케다 미쓰마사
기본 정보
이케다 미쓰마사 초상 (하야시바라 미술관 소장)
시대에도 시대 전기
출생게이초 14년 4월 4일 (1609년 5월 10일)
사망덴나 2년 5월 22일 (1682년 6월 27일)
개명고류 (초명), 미쓰마사
가명신타로 (통칭)
시호호레쓰코
신호무안령명
계명쓰겐인덴 덴시쓰 기코 다이코지
묘소오카야마현 비젠시 요시나가초 와이타니의 와이타니 이케다가 묘소
관위종4위하・시종, 좌근위권소장, 증정3위
막부에도 막부
섬긴 주인도쿠가와 히데타다이에미쓰→이에쓰나
하리마히메지번 번주, 이나바돗토리번 번주, 비젠오카야마번 번주
씨족이케다 씨 (리토시류)
부모아버지: 이케다 도시타카, 어머니: 후쿠쇼인
형제자매미쓰마사, 이케다 쓰네모토, 이케다 마사사다, 나가히메
배우자정실: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양녀・엔조인
측실: 미즈노 씨, 오무라 씨
자녀나아, 세이겐인, 이케다 쓰나마사, 도미키, 사아, 이케다 마사토키, 로쿠히메, 나나히메, 이케다 데루토모, 후사히메, 고만
관직
히메지번 번주재임 시작: 1616년
재임 종료: 1617년
이전: 이케다 도시타카
이후: 혼다 다다마사
돗토리번 번주재임 시작: 1617년
재임 종료: 1632년
이전: 이케다 나가유키
이후: 이케다 미쓰나카
오카야마번 번주재임 시작: 1632년
재임 종료: 1672년
이전: 이케다 다다카쓰
이후: 이케다 쓰나마사

2. 생애

이케다 도시타카와 사카키바라 야스마사의 딸 쓰루히메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 이름은 신타로(新太郎)였다.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양녀를 입양했으며[1], 혼다 타다토키와 오에이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손녀 센히메의 딸인 카츠히메와 결혼했다.

겐나 2년(1616년) 아버지 도시타카가 사망하자 하리마 히메지번주(42만 석)가 되었으나, 겐나 3년(1617년) 어린 나이를 이유로 인바 돗토리번(32만 5000석)으로 감봉되었다.[1]

1617년 돗토리번(325,000 고쿠)으로 옮겨간 후, 1632년 숙부 이케다 다다오가 사망하고 사촌 미쓰나카가 3세로 어려 비젠 국오카야마를 다스리기 어렵다고 판단되어 비젠 국 오카야마 번(315,000 고쿠)으로 이봉되었다.[1] 이후 미쓰마사의 가계가 메이지 시대까지 오카야마 번을 다스렸다.

유교를 신봉하여 양명학구마자와 반잔을 초빙했다.[3] 1641년에는 전국 최초의 번교인 "하나바타 교장"을 개교했고, 1670년에는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서민 학교인 간코쿠(비젠 시)도 열었다.[4]

1672년 번주의 자리를 쓰나마사에게 물려주고 은거했다.[1] 1682년 5월 22일, 오카야마성 서쪽 마루에서 74세로 사망했다.

2. 1. 가독 상속

겐나 2년(1616년) 6월 13일, 아버지 도시타카가 사망하자 이듬해 6월 14일 막부로부터 가독 상속을 허가받아[1] 하리마 히메지번주(42만 석)가 되었다. 그러나 다음 겐나 3년(1617년) 3월 6일, 어린 나이를 이유로 인바 돗토리번(32만 5000석)으로 감봉되었다.[1]

2. 2. 돗토리 번주

1617년, 이케다 미쓰마사는 이와미 국과 호키 국을 봉토로 하여 돗토리번(325,000 고쿠)으로 옮겨갔다.[1]

돗토리번 번주가 된 이케다 미쓰마사의 내정은 어려웠다. 이난 국은 센고쿠 시대에는 모리씨의 영향력이 강했지만, 소영주들의 할거와 분쟁이 겹쳐 번주의 뜻대로 할 수 없었고, 생산력과 연공 수납량도 상당히 낮았다. 게다가 10만 석을 감봉당했음에도 히메지 시대의 42만 석 부지의 가신을 계속 거느리고 있어 재정난과 영지 분배에도 고심했다. 가신의 봉록은 히메지 시대의 6할로 줄었고, 하급 무사는 성하에 거주할 곳이 없어 토착하여 반농반사로 생활하게 되었다. 미쓰마사는 돗토리성의 증축, 성하 마을의 확장에 힘썼다. 겐와 6년 (1620년), 막부로부터 오사카성 성벽 수축을 명받았다.

겐와 9년 (1623년) 6월, 2대 쇼군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상경에 따라 교토에 들어갔지만, 아직 무위무관이었기 때문에 같은 달 25일 히데타다 참내에는 수행할 수 없었다. 7월에 늦게 상경한 세자 이에미쓰도 입경했고, 7월 27일에 이에미쓰가 쇼군 선하를 받아 제3대 쇼군이 되자, 8월 3일에 15세로 원복했고, 그때까지의 이름인 요시타카(幸隆)를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편휘를 받아 '''미쓰마사'''로 개명했다. 같은 달 6일, 이에미쓰 참내에 앞서 종사위하·시종에 서임되어 수행 일원으로 선택되었다. 간에이 3년 (1626년) 8월 이에미쓰 상경에도 따라 좌근위소장으로 서임되었다. 간에이 5년 (1628년) 1월 26일 혼다 다다토키의 딸 쇼코(엔세인)를 오고쇼 히데타다의 양녀로 정실로 맞이했다.

간에이 9년 (1632년) 4월 3일, 숙부인 오카야마번주 이케다 다다오가 사망하고 사촌인 다다오의 적자 미쓰나카가 3세로 어려 비젠 국오카야마를 다스리기 어렵다고 판단, 5월에 미쓰마사는 에도로 소환되어 6월에 비젠 오카야마 31만 5000석으로 이봉되었고, 미쓰나카가 인바 돗토리 32만 5000석으로 국교체되었다.

2. 3. 오카야마 번주

1632년, 숙부인 이케다 다다오가 사망하고 사촌인 미쓰나카가 3세로 어렸기 때문에, 산요도의 요지인 비젠 국오카야마를 다스리기 어렵다고 판단되어 에도로 소환되었다.[1] 그해 6월, 비젠 국 오카야마 번(315,000 고쿠)으로 이봉되었고, 미쓰나카는 돗토리 번으로 옮겨졌다.[1] 이후 미쓰마사의 가계가 메이지 시대까지 오카야마 번을 다스렸다.

미쓰마사는 오카야마 성의 수호신으로 도쇼구(현 타마이궁 도쇼구)를 세웠는데, 이는 닛코 도쇼구가 지방으로 분사된 전국 최초의 사례였다.[2] 다른 번에서도 이를 따라 도쇼구를 세워 그 수가 150개에 달했다고 한다.

유교를 신봉하여 양명학구마자와 반잔을 초빙했다.[3] 1641년에는 전국 최초의 번교인 "하나바타 교장"을 개교했고, 1670년에는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서민 학교인 간코쿠(비젠 시)도 열었다.[4] 교육 충실과 검소 절약을 으뜸으로 삼아 "비젠풍"이라고 불리는 정치 자세를 확립했다.

오카야마 군 대관 쓰다 나가타다를 등용하여 간척 등의 신전 개발, 햐쿠켄가와(아사히가와 방수로) 개착 등의 치수를 행했다. 또한, 산업 진흥도 장려했다. 이러한 공적으로 미쓰마사는 미토 번주 도쿠가와 미쓰쿠니, 아이즈 번주 호시나 마사유키와 함께 에도 시대 초기의 삼명군으로 칭송받고 있다.

미쓰마사는 신유일치 사상에서 신도를 중심으로 하는 정책을 취하고, 신불분리를 행했다. 테라우케 제도를 폐지하고 신도우케 제도를 도입했다. 또한, 니치렌종 후조후세파를 탄압하는 등 종교 정책에도 적극적으로 관여했다.

2. 4. 만년과 최후

1672년 6월 11일, 미쓰마사는 번주의 자리를 적남인 쓰나마사에게 물려주고 은거했다. 이때 미쓰마사는 차남 마사노부에게 비젠의 신덴 1만 5천 석, 삼남 데루유키에게도 1만 5천 석을 분여했다.[1]

은거 후 4개월 반 만에 어머니 후쿠쇼인(福正院)이 사망하고, 6년 후에는 정실인 쇼시(勝子)도 사망하는 불행을 겪었지만, 미쓰마사는 은거했음에도 불구하고 실권을 계속 쥐고 있었다.[2]

1681년 10월 오카야마로 귀국할 무렵부터 몸 상태가 나빠지기 시작했다. 미쓰마사는 오카야마성 서쪽 마루에서 요양했지만, 70세를 넘은 탓인지 호전되지 않았다. 1682년 4월, 교토에서 명의 오카 겐쇼를 초빙했지만 차도가 없었고, 죽음을 직감한 미쓰마사는 5월 1일에 침실에 가로 등 중신[3]을 불러 유언[4]을 전했다. 5월 22일, 오카야마성 서쪽 마루에서 74세로 사망했다.

묘소는 오카야마현 비젠시 요시나가 정에 있는 와이야다니 이케다 가 묘소에 있다.

3. 인물 및 일화

이케다 미쓰마사는 에도 시대에 명군으로 칭송받기 위해 쓰인 자료가 많아 여러 일화가 전해지고 있다. 주요 자료로는 간엔 시대 초기에 오카야마 번사들이 편찬한 『유비록』[6], 간에이 14년부터 간분 9년까지의 21권 분량의 일기인 『미쓰마사 일기』[7], 곤도 사이가가 이케다 하루마사에게 헌상한 『솔장록』[8], 하야카와 모 씨가 쓴 『앙지록』[9], 그리고 『시시구리 일기』 등이 있다.

미쓰마사는 학문을 좋아했으며, 어린 시절부터 비범하여 이에야스에게 재능을 인정받았다. 여기에는 생모 쓰루히메, 양육을 맡았던 요시다 에이쥬니와 시모가타 카쿠베에의 노력이 있었다고 한다.

통칭은 신타로였으며, 간에이 3년에 사콘에 권소장에 임명되면서 신타로 소장이라 불렀고, 미쓰마사 자신도 이를 평생 사용했다. 『교시록』에 따르면, 미쓰마사는 이름에 큰 의미를 두지 않았다고 한다.

14세 또는 15세 무렵, 교토 쇼시다이인 이타쿠라 가쓰시게에게 치국의 요도에 대해 물었을 때, 가쓰시게는 "네모난 상자에 된장을 넣고 둥근 국자로 뜨는 것과 같이 하라"고 답했다. 미쓰마사가 "구석까지 미치지 못하는 점은 어떻게 해야 합니까"라고 묻자, 가쓰시게는 관용의 마음으로 국사를 처리해야 인심을 얻는다고 조언했다. 후에 미쓰마사는 이 가르침을 잘 지켜 명군으로 칭송받았다. (『유비록』)

미쓰마사가 죽기 1개월 전, 오사카의 의사인 기타가와 주안은 미쓰마사의 태도를 보고 "진정한 군자"라고 칭찬했다고 한다.

말의 감정에 관한 일화도 있다. 낭인 타니타 카스케가 에도 번저에 말을 보러 왔을 때, 미쓰마사는 다른 이들과 달리 "뜬 발"이라고 간파했다. 타니타는 감복하여 미쓰마사를 섬기게 되었다.

무예에서는 활을 좋아했으며, 병중에도 활의 시위 소리로 위안을 삼았다고 한다.

미쓰마사는 가신이 간언하는 것을 권장했다. 시의 시오미 겐조가 귤을 먹는 미쓰마사에게 "찬 음식은 삼가십시오"라고 충고하자 따랐다. 후에 미쓰마사는 겐조의 충고를 알고 있었지만, 앞으로 아무도 간언하지 않을 것을 우려하여 말을 참았다고 말했다.

생모 후쿠쇼인에 대한 효성이 두터웠으며, 간분 12년(1672년)에 후쿠쇼인이 병에 걸렸을 때 밤낮으로 곁을 지켰다.

쇼오 3년(1645년)에는 가신들의 간언을 받아들이기 위해 간언 상자(諫言箱)를 설치했다.

재정 정책은 검약을 중시했으며, 본인도 수수한 의복을 입었다. 차남 마사토키가 벨벳 우산 주머니를 사용하는 것을 보고 주의를 줬고, 삼남 테루히사가 분수에 넘치는 집을 짓자 화를 냈다. 그러나 막부 명령에 따른 지출 등으로 오카야마 재정은 쇼오 3년 시점에서 은 3526관목의 적자였다.

농정에 관한 일화도 많다. 고구마 재배를 장려하고, 벼 품종을 간파하는 등 백성들을 위한 정책을 펼쳤다. 백성의 부담을 줄이려고 잡세를 경감하려 했으며, 천민 차별에 반대하는 등 백성 보호에도 힘썼다.

동성애를 혐오하여 심하게 탄압했다. 남색을 "대불의"라 부르며 규제를 강화했다.

쇼호 원년(1644년)에 도쇼구(현, 타마이궁 도쇼구)를 조영했다.

4. 평가

이케다 미쓰마사는 미토번도쿠가와 미쓰쿠니, 아이즈번호시나 마사유키와 함께 에도 시대 초기의 3명의 군주 중 한 명으로 칭송받고 있다.[3] 1641년에는 전국 최초의 번교 "하나바타 교장"을 개교했고, 1670년에는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서민 학교인 간코쿠도 열었다. 교육과 검소함을 강조하여 "비젠풍"이라 불리는 정치 자세를 확립했다.[4]

유교를 신봉한 미쓰마사는 양명학구마자와 반잔을 초빙했다.[3] 오카야마 군 대관 쓰다 나가타다를 등용하여 간척 등의 신전 개발, 햐쿠켄가와(아사히가와 방수로) 개착 등 치수 사업을 펼쳤고, 산업 진흥도 장려했다. 막부가 권장하던 주자학 대신 양명학과 심학을 번학으로 삼아 실천하며, 번 내에 서민을 위한 수습소[5]를 수백 곳 만들었다.

종교적으로는 신유일치 사상에 따라 신도 중심 정책을 펴 신불분리를 시행했다. 테라우케 제도를 폐지하고 신도우케 제도를 도입했으며, 유교적 합리주의에 따라 음사・사교를 배척하고 신사 합사・사원 정리를 단행했다. 카나가와군에서 융성했던 니치렌종 후조후세파도 탄압했다.

또한, 지역의 옛 가문 과거장을 말소하고, 서민의 사치를 금지하며 화려한 제례를 제한하고 정초・제례・축연 외에는 음주를 금지했다.

게이안의 변 주모자 유이 쇼세츠는 미쓰마사를 경계했고, 그의 복심 마루바시 츄야는 미쓰마사를 문무 겸비의 명장으로 평가했다. 미쓰마사의 치세는 후세 오카야마번의 모범이 되었으며, 막말 시기 이케다 시게마사나 아키마사는 그의 위업을 본받고자 했다.

5. 가족 관계

관계이름비고
아버지이케다 도시타카(池田利隆)1584년 - 1616년
어머니쓰루히메(鶴姫)? - 1672년, 사카키바라 야스마사의 딸
정실엔세인(勝姫)1618년 - 1678년,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양녀, 혼다 타다토키와 센히메의 딸
측실미즈노 가쓰노신(水野勝之進)의 딸
측실오쿠니노카타(於国の方)와다 코레나가의 딸 리세인(理正院)
장녀지우닌(寿雲院)혼다 타다히라에게 시집감, 가쓰히메 소생, 1634년 - 1697년
차녀세이겐인(清源院)이치조 노리스케에게 시집감, 가쓰히메 소생, 1636년 - 1717년
장남이케다 쓰나마사(池田綱政)가쓰히메 소생, 1638년 - 1714년
4녀사카키바라 마사후사에게 시집감, 가쓰히메 소생, 1640년 - 1659년
5녀나카가와 히사쓰네에게 시집감, 가쓰히메 소생, 1644년 - 1705년
차남이케다 마사코토(池田政言)미즈노 가쓰노신의 딸 소생, 1645년 - 1700년
6녀로쿠히메(六姫)이케다 요시사다에게 시집간 후, 타키카와 가즈무네에게 재가, 오쿠니노카타 소생, 1645년 - 1680년
7녀시치히메(七姫)오쿠니노카타 소생, 1647년 - 1652년
3남이케다 테루토시(池田輝知)오쿠니노카타 소생, 1649년 - 1714년
8녀오쿠니노카타 소생
9녀기요히메(清姫)모리 모리쓰나에게 시집감, 오쿠니노카타 소생, 1653년 - 1686년
10녀오쿠니노카타 소생, 1657년 - 1662년
3녀생모 불명
양녀이누히메이케다 토시마사의 딸, 히오키 이노에몬 타다하루의 부인, 1620년 - 1685년


6. 관련 자료


  • 쿠마자와 반잔 초빙[3]
  • 전국 최초의 번교 "하나바타 교장" 개교 (1641년)
  • 서민 학교 칸코쿠 개설 (1670년) (비젠시)
  • 츠다 나가타다 등용, 간척 등의 신전 개발, 햐쿠켄가와 (아사히가와 방수로) 개착
  • 미토번주 도쿠가와 미츠쿠니, 아이즈번호시나 마사유키와 함께 에도 시대 초기의 삼명군으로 불림
  • 주자학을 싫어하고, 양명학・심학을 번학으로 실천
  • 신유일치 사상에서 신도 중심 정책, 신불분리 시행
  • 테라우케 제도 폐지, 신도우케 제도 도입
  • 신사 합사・사원 정리, 니치렌종 후조후세파 탄압
  • 과거장 말소
  • 화려한 제례 금지, 정초・제례・축연 외 음주 금지
  • 향토 요리 "바라 스시" 탄생과 관련
  • 『유비록』[6]
  • 『미쓰마사 일기』[7]
  • 『솔장록』[8]
  • 『앙지록』[9]
  • 『시시구리 일기』

참조

[1] 서적 Dictionnaire d’histoire et de géographie du Japon http://www.unterstei[...] 1906
[2] 서적 池田家履歴略記 https://iss.ndl.go.j[...] 1837
[3] 서적 熊沢先生事跡考 https://iss.ndl.go.j[...] 1811
[4] 간행물 国宝・重要文化財閑谷学校の虫害調査 日本しろあり対策協会 1974-11
[5] 웹사이트 手習所とは https://kotobank.jp/[...] 2023-01-04
[6] 서적 有斐録・元.亨.利.貞 https://dl.ndl.go.jp[...] 国書刊行会 1911-1912
[7] 서적 池田光政日記 https://dl.ndl.go.jp[...] 山陽図書出版 1967
[8] 서적 率章録 https://dl.ndl.go.jp[...] 吉備群書集成刊行会 1931
[9] 서적 仰止録 https://dl.ndl.go.jp[...] 吉備群書集成刊行会 193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